1 follower
문의는 DM으로 부탁드려요🙏
대망의 나만의 리액트 스타일 SPA 만들기 시작해보겠습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JSX 파싱 JSX to Virtual DOM Virtual DOM Diffing Commit 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JSX란? JSX란 XML 스타일의 트리 구조로 표현하고...
타입스크립트의 타입 시스템을 공부하다 문득 unknown도 모든 타입 다 들어가고 any도 다 들어가는데 뭐가 다른거지? 라는 생각이 들어서 무슨 차이가 있는지 찾아보았다. unknown 사용시(프로퍼티에 접근 시, 연산 시) 타입을 지정해주어야 함 다른 타입에...
Core Web Vitals 구글에서 만든 것으로 웹페이지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들. LCP Largest Contentful Paint 페이지 로딩 성능을 의미하는 것. 의미 정확히는 '페이지가 처음으로 로드를 시작한 시점부터 뷰포트 내부에서 가장 큰 이미지 또는...
현재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리액트 버전은 16 버전이다. 그 이후 버전인 17, 18 버전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자. 리액트 17 버전 리액트 17 버전은 새롭게 추가된 기능이 없으며 기존 코드의 수정을 필요로 하는 변경 사항이 최소화되어있다. 이전...
서버 사이드 렌더링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이란 웹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서버에서 렌더링하는 기법을 말한다. SSR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기존의 프론트엔드 중심 개발 방법 중 하나인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SPA)를 알아본다. 싱글 페이지...
지난 글에 이어 여러 훅을 알아보자. useMemo const memoizedValue = useMemo(() => expensiveComputation(a, b), [a, b]); useMemo는 첫 인자로 들어오는 함수의 연산 결과(비용이 큰)를 메모이제이션 해...